글, 사진 _ 마이인플
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받게 되는 국민연금이겠지만 국민연금 수령액 난 얼마나 받을까 궁금해서 직접 찾아봤어요. 국민연금을 어디다가 투자를 해서 말아먹었는지 이제는 바닥난 국민연금이지만 그래도 알고싶잖아요. 일단 알기전에 마음 단단히 먹으세요. 생각보다 적어서 노후에도 일자리 구해야 할 것같으니까요.

1. 국민연금 수령액 산정 기준
국민연금의 수령액은 기본적으로 가입 기간, 평균 소득, 연금 지급률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.
국민연금 공식 수령액 산출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기본 연금액 = [(A값 + B값) / 2] × 가입 기간 × 연금 지급률
- A값: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
- B값: 본인의 가입 기간 동안의 평균 소득
- 연금 지급률: 연금 수령 개시 연령과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짐
즉, 고소득 직군이거나 가입 기간이 긴 직업군일수록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.

2. 직종별 국민연금 수령액 차이
국민연금은 일반적으로 직장가입자(회사원, 공무원 제외)와 지역가입자(자영업자, 프리랜서 등)로 나뉩니다. 각각의 직군별 국민연금 수령액을 비교해 보겠습니다.
① 회사원 (직장가입자)
- 평균 수령액: 약 100만 원~150만 원
- 직장가입자는 국민연금 가입이 의무이며, 회사에서 절반을 부담하기 때문에 꾸준히 납입 가능
- 정년퇴직 전까지 오랜 기간 가입할 가능성이 높아 수령액도 비교적 높은 편
② 공무원 및 군인 (공무원연금, 군인연금 대상)
- 국민연금이 아닌 공무원연금 및 군인연금 적용 대상
- 공무원연금 개편 이후 일부 공무원은 국민연금과 연계하여 받음
- 기존 공무원연금 수령자는 평균적으로 200만 원~300만 원 이상 수령 가능
- 군인연금은 계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공무원연금과 비슷한 수준

③ 자영업자 (지역가입자)
- 평균 수령액: 약 50만 원~100만 원
- 국민연금 가입이 의무지만, 소득신고에 따라 납입 금액을 조정하는 경우가 많아 납입액이 낮을 가능성이 큼
- 폐업이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납입을 중단하는 경우도 있어 연금 수령액이 상대적으로 낮음

④ 프리랜서 및 비정규직 근로자
- 평균 수령액: 약 30만 원~80만 원
- 고정된 월급이 없는 경우가 많아 국민연금 납부가 불규칙함
- 지역가입자로 가입하는 경우가 많으며, 납부를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수령액이 낮음
⑤ 농어업 종사자
- 평균 수령액: 약 40만 원~90만 원
- 소득이 일정하지 않고, 연금 가입률이 상대적으로 낮음
- 다만, 농어업인에 대한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제도가 있어 납부 부담이 다소 경감됨
⑥ 전문직 (의사, 변호사 등)
- 평균 수령액: 약 120만 원~180만 원
- 소득이 높아 연금 보험료도 최대 상한선(월 553만 원 기준, 2024년 기준)까지 납부하는 경우가 많음
- 다만, 사적연금(개인연금, 퇴직연금) 활용 비중이 높아 국민연금만으로 노후를 준비하는 비율은 낮음

3. 국민연금 수령액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
국민연금 수령액 차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.
가입 기간
- 가입 기간이 길수록 수령액 증가
- 직장가입자는 정년까지 꾸준히 납부할 가능성이 높아 수령액이 많음
- 자영업자는 폐업 등의 이유로 가입 기간이 짧을 수 있음
소득 수준
- 국민연금 납부액은 소득에 비례하여 결정됨
- 고소득 직업군(의사, 변호사, 대기업 직장인 등)은 연금 납부액이 많아 수령액도 큼
납부 형태
- 직장가입자는 회사와 본인이 절반씩 부담하여 안정적으로 납부 가능
- 지역가입자는 100% 본인이 부담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큼
연금보험료 지원 여부
- 농어업 종사자는 정부 지원을 받아 상대적으로 연금 납부 부담이 적음
- 일부 저소득층은 연금보험료 지원제도를 활용할 수도 있음
국민연금 수령액을 높이는 방법
가입 기간을 최대한 늘리기
- 최소 10년 가입해야 연금 수령이 가능하므로, 가입 기간을 길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.
- 가능한 한 오랜 기간 국민연금을 납부하는 것이 유리함.
보험료 납입액을 늘리기
- 연금 수령액은 납부한 보험료에 비례하므로, 높은 소득 신고를 통해 연금 보험료를 많이 내면 나중에 받을 금액도 증가함.
임의가입 활용하기
- 소득이 없는 주부나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, 임의가입 제도를 통해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음.
연기연금 활용
- 연금 수령을 늦출 경우 최대 36%까지 연금액 증가(1년당 7.2%씩 증가)
에필로그
국민연금은 대한민국 국민 대부분이 가입하는 중요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. 하지만 직종별로 평균 소득과 가입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, 실제 연금 수령액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노후 대비를 위해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퇴직연금과 개인연금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👉 내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하기
